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與 사활 건 공천전쟁 ‘유승민’ 때완 다르다
[헤럴드경제=김상수 기자] 계파전쟁은 더 이상 피할 수 없다. 처음은 아니지만 이번엔 진짜다. 내년 총선 목숨 줄이 달렸으니 더 독하다. 친박계와 비박계의 팽팽한 대결이다. 박근혜 대통령과 김무성 새누리당 대표가 전면에 나온 공천 전쟁이다.

새누리당 의원 159명에서 친박계는 소수다. 의견이 분분하지만 30여명에서 최대 60여명까지 거론된다. 친박계는 상대적으로 소수이지만 핵심은 응집력이다. 평소엔 잠잠하더라도 시기가 오면 최고위원부터 청와대 정무특보, ‘저격수’까지 똘똘 뭉친다. 


최근 김 대표를 옥죄는 과정에서도 친박계의 응집력이 여실히 드러났다. 마약 사위 사건이 터진 후 김 대표가 휘청거리자 청와대 정무특보인 윤상현 새누리당 의원은 ‘김무성 불가론’을 제기했다. “당 지지율이 40% 대인데 김 대표 지지율은 20% 대에 머물러 아쉽다”고 말한 게 골자다. 이내 해명에 나섰지만, 결론적으로 이 발언은 김 대표를 압박하는 포문이 됐다.

김 대표가 정치인생을 걸겠다고 밝힌 오픈프라이머리(완전국민경선제)도 친박계의 제동이 이어졌다. 당시 서청원 최고위원은 “김 대표가 이 문제에 대해 ‘정치생명을 걸고 관철하겠다’고 한 것을 포함해 앞으로 이 문제가 어려워졌을 때 어떻게 할 것인지 떳떳한 얘기가 전제돼야 한다”고 말했다. 김무성 책임론이다.

김 대표가 안심번호제란 대안을 제시하고 청와대가 반발하자 친박계는 본격적으로 뭉쳤다. 최고위원회의에서부터 각종 라디오 출연, 언론 인터뷰 등을 통해 일제히 김 대표를 겨냥했다. 소수이지만 대외적으로 노출되는 빈도, 발언수위로 보면 결코 밀리지 않는 형국이다. 일제히 목소리를 높이니 오히려 주류로 비친다. 마치 북소리와 모래바람으로 규모를 혼란케 하는 전술을 닮았다.

유승민 전 원내대표 사퇴 때에도 친박계의 위력을 보여줬다. 서청원, 이정현 최고위원 등 대표 친박계 의원이 최고위원회의를 담당하고, 윤상현ㆍ김재원 두 정무특보는 총대를 멨다. 김태흠, 이장우 의원 등은 ‘유승민 저격수’로 “즉각 사퇴하라”고 연일 강경 발언을 쏟아냈다. 이번 김 대표 옥죄기도 비슷한 흐름이다.

비박계는 친박계에 비해 세에서 우위를 점한다. 세에서 우위를 점한다는 건 투표에서 위력을 발휘한다. 유승민 의원이 의원총회에서 원내대표에 선출되고, 김 대표가 서청원 최고위원을 누르고 당 대표직에 오른 게 대표적인 예다.

지난 9월 30일 의원총회에서도 친박계의 거센 반발에도 불구하고 별도기구를 마련해 안심번호를 포함, 대안을 모색하자는 ‘적당한’ 수준에서 마무리됐다.

문제는 ‘비(非)박’이란 말 자체에서 드러난다. 명확한 구심점 없이 친박계가 아닌 네가티브식의 계파다. 친이(친이명박)계도 있지만 이미 진 권력이기에 구심점으로 보기엔 약하다. 숫자의 우위에도 불구하고 뭉친 친박계에 명확히 우위를 점하지 못하는 이유다. 유승민 사태 때도 비박계는 이 한계를 여실히 드러냈다.

역으로 구심점이 생기면 달라진다. 특히 이번 갈등엔 공천제가 핵심이다. 의원 개개인 사활이 걸려 있고 국민공천제가 현역 의원에 유리하기 때문에 민감도가 다르다. 유승민 사태와는 또 다른 국면이다.

dlcw@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