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팍팍 늙어가는 서울
2019년 노인인구 비율 14.3%…2032년 모든 자치구 20% 이상


서울이 빠르게 늙고 있다. 2019년 서울에 거주하는 시민 중 65세 이상 노인의 비중이 14.3%를 차지하며 ‘고령사회’에 들어설 것으로 예측되는 가운데 2032년에는 서울시 25개 자치구 모두 고령인구 비율이 20%를 넘는 초고령사회에 진입할 것으로 보인다.

서울시는 이런 내용을 포함해 각 자치구별 미래 예상 총인구 통계 등을 담은 ‘2013~2033년 서울시 자치구별 장래인구 추계’ 자료를 서울통계 홈페이지(http://stat.seoul.go.kr)에 16일 공개했다.

자치구별 장래인구 추계자료는 통계청이 발표한 2013년 서울시 인구를 기준으로 인구변동 요인인 출생ㆍ사망ㆍ이동(전ㆍ출입)의 연령별 장래변동 수준을 예측해 가감하는 ‘코호트 요인법’을 적용해 자치구별로 산출했다.

서울시 분석에 따르면 2013년 10.9%인 65세 이상 고령인구가 2019년 14.3%로 증가해 ‘고령사회’(고령인구 비율이 14% 이상)에 첫 진입하고 2026년에는 ‘초고령사회’로 진입한다. 이후 노인 인구의 급속한 증가에 따라 2032년에는 서울시 모든 자치구가 초고령사회가 될 것으로 예상됐다.

유소년(0~14세) 인구는 지속적으로 감소해 2013년 125만 8000명에서 20년이 지난 2033년에는 105만1000명으로 20만8000명 감소할 것으로 전망됐다.

서울시는 향후 20년간 서울시 모든 자치구의 인구구조는 현재 ‘항아리’ 형태에서 점차 저연령층이 줄고 고연령층이 늘어나는 ‘역피라미드’ 형태로 변화될 가능성이 높다고 분석했다.

중위연령(총 인구를 연령별로 세워 정 중앙에 있는 사람의 연령)은 전 자치구 평균 같은 기간 39세에서 48.6세로 9.6세 높아질 것으로 보이며 50세가 넘는 자치구도 9개나 될 것으로 예상됐다.

생산가능인구(15세~64세)는 2033년에는 601만7000명으로 2013년의 63.6% 수준이 될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따라 생산가능인구 100명 당 부양해야 할 인구수를 의미하는 총부양비는 2013년 30.9명에서 2033년에는 57.2명으로 증가가 예상된다.

한편 서울시 전체 인구는 같은 기간 992만6000명에서 출생아 감소, 타 도시로의 이동 증가 등으로 인해 지속적으로 감소해 2033년에는 946만명이 될 것으로 예상됐다.

강문규 기자/mkkang@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