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경기둔화로 인플레 우려 진정되는데…한은, 금리인상 집착 왜? [인더머니]
안전자산 선호 늘며
장단기 금리차 축소
물가상승 우려는 약화
금융불균형 위험 여전
한국은행 금융통화위원회가 지난 15일 서울 중구 한은 본관에서 이주열(가운데) 총재 주재로 통화정책방향회의를 개최, 기준금리 운용 계획에 대해 논의하고 있다. [한은 제공]

[헤럴드경제=서경원 기자] 경기가 정점(peak out)을 지나 둔화 국면에 진입하고 있단 우려가 고조되면서 미국 채권시장에서 장기물 금리가 빠르게 흘러내리고 있다. 안전자산 선호 강화로 달러 가치도 3개월여만에 최고치를 기록했다. 우리 경제도 글로벌 수요 감소 및 코로나19 4차 확산 등으로 정체 가능성이 확대되면서 장기 금리가 떨어지는 한편 기준금리 인상 예고로 단기금리가 상승, 경기 적신호인 장단기 금리차 축소가 1년래 가장 큰 폭으로 이뤄진 상태다.

▶경기둔화 우려에 안전자산 선호 강화=19일(현지시간) 미 채권시장에서 10년물 국채 금리는 지난 2월 이후 5개월만에 1.2%선에 근접했고, 30년물은 1월 이후 6개월만에 1.8% 초반대까지 떨어졌다. 이로써 장단기 금리차(2·10년물간)는 2월 이후 처음으로 100bp(1bp=0.01%포인트)선이 깨졌다.

최근의 미 장기금리 하락은 향후 경기에 대한 인식을 반영하고 있다. 지난달 미국의 소매판매는 감소할 거란 예상을 깨고 전월보다 증가(0.6%)했지만, 5월 소매판매 증가율(-1.7%)이 당초 발표치(-1.4%)보다 더 낮아진 데 영향을 받은 부분이 크다. 최근 물가가 치솟으면서 미시건대가 집계하는 소비지심리지수는 이달(80.8) 5개월 만에 최저치를 기록하기도 했다.

앞으로 경기가 안좋아질 거란 심리가 강화되면 대표 안전자산인 채권시장으로 돈이 몰려 낮은 이자에도 채권을 사는 사람들이 늘어 금리는 하방 압력을 받는다. 또 경기 악화시 기업들이 투자를 줄여 대출 수요가 감소하기 때문에 이와 연동되는 장기 금리가 떨어지는 결과를 낳게 된다.

또 미 장기 금리 하락이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회의가 열린 지난달 중순 이후 본격화됐단 점도 특기할 만하다. 이 회의에서 연방준비제도(Fed·연준)는 금리 인상 시점을 앞당기고 테이퍼링(자산매입 축소) 논의를 시작하는 등 종전보다 긴축적인 모습을 보였음에도 불구하고 시장은 이와 반대 움직임을 보였기 때문이다. 이런 데에는 미래의 금리 인상보다 연준이 추가 완화 조치를 취하지 않을 것이란 예상 속 현재의 경기 후퇴 가능성에 더 무게를 실었기 때문이란 분석이 나온다.

여기에 미 정부가 부채한도협상 종료일인 이달 말까지 4000억달러 가량의 현금을 방출해야 하는 상황에서 이 이 자금이 채권 시장에 대거 유입되고 있는 것 역시 금리 하락에 영향을 미치고 있다.

우리나라 상황도 미국과 다르지 않다. 코로나19 4차 유행으로 내수 위축이 불가피한 상황에서 미국, 중국 등 주요국의 성장세 감소는 수출에도 치명적일 수 있다. 이같은 경기 상황을 반영, 지난 19일 국채 10년물 금리는 지난 3월 이후로 다시 2% 아래로 떨어졌다. 이로써 장단기 금리차(3·10년물간)는 51bp로 떨어져 작년 8월 이후 가장 낮은 상태다.

▶ 중앙은행 인플레 동상이몽…美연준 “일시적”, 한은 “추세적”=그런데 중앙은행의 스탠스는 미국과 차이를 보이고 있다. 미국의 경우 고용 등 경기지표가 분명한 개선세로 돌아선 것을 확인한 뒤 정책 정상화롤 예고한 반면 한국은행의 경우 서둘러 금리인상에 나설 채비를 하고 있다. 한은은 현재까지의 4차 확산세가 4% 수준의 성장세를 훼손할 수준은 아니라고 보고 있으며, 경제주체들의 학습효과 및 3분기 예정된 대규모 백신접종 일정 등을 감안해 인상 일정을 수정하진 않을 것으로 보인다. 이를 뒷받침하는 차원에서 한은은 연일 자료를 통해 자산시장 쏠림에 따른 금융불균형 및 인플레이션 가능성을 지적하고 있는 상황이다.

하지만 일각에선 장단기 금리차 축소 등 위축 시그널이 나오고, 미국보다 경기 둔화 가능성이 적다고 볼 수 없는 상황에서 한은이 무리하게 인상에 나서고 있단 지적도 나온다. 강승원 NH투자증권 연구원은 “한은이 코로나19보다 금융불균형 누증을 더 엄중한 리스크로 판단하며 금리인상에 대한 강한 의지를 피력하고 있다”며 “이는 올릴 수 있을 때 올려야 한다는 판단이 주효했을 것”이라고 말했다.

또 이런 데에는 제롬 파월 연준 의장과 이주열 한은 총재의 임기차도 영향을 미쳤을 거란 관측도 제기된다. 파월의 경우 내년 2월 임기 만료를 앞두고 연임 확률을 높이기 위해선 시장 친화적인 정책을 이어가야 하는 반면 내년 3월 퇴임이 예정된 이 총재의 경우 가계부채 급증 등 후일의 평가를 고려, 소폭이라도 금리를 올려 놓고 가길 바라는 뜻이 기저에 있단 것이다.

gil@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