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애그플레이션’ 우려에 탄소세까지…“위험관리·신성장동력 발굴 시급” [기후변화 쇼크 비상]
고공행진 농축수산물·원자재값 도미노 물가상승 초래
탄소세 도입시 수출 年 최대 101억弗↓…주력산업 타격
“신성장동력 적극 발굴, 시장 확대 기회로 활용해야”
[헤럴드DB]

[헤럴드경제=김대우 기자] 폭염과 가뭄 등 기후변화 시대의 불확실성이 한국경제의 핵심 리스크(위험 요인)로 부상하고 있다. 대내적으로는 폭염으로 급등한 농산물 가격이 물가 상승을 유발하는 ‘애그플레이션’(agflation) 우려가 확산하고 있고, 대외적으로는 2023년 탄소국경세 도입으로 기업들의 대응에 비상이 걸린 것이다. 이에 대한 리스크 관리와 글로벌 대전환을 계기로 한 신성장동력 발굴이 시급한 상태다. ▶관련 기사 2면

9일 관계부처에 따르면 지난달 소비자물가는 전년 같은 기간 보다 2.6% 상승했으며 전달인 6월보다도 0.2% 올라 최고 상승률을 기록했다. 지난 4월(2.3%) 이후 4개월째 2%대 고공행진이다. 기후변화로 인한 작황 부진, 가축 감염병 확산으로 농축수산물이 9.6%나 뛴 것이 주된 요인이다.

문제는 정부가 백방으로 대책을 내놓고 있지만 물가 오름세는 쉽게 잡히지 않고 있다는 점이다. 계란은 수입량을 늘렸지만 가격은 여전히 강세고, 정부양곡을 풀었음에도 쌀값은 20%가량 올랐다.

게다가 농산물로 인한 도미노 물가상승도 발견돼 애그플레이션 우려가 현실화하고 있다. 식품가격 상승과 계란과 우윳값 인상은 제과·제빵이나 커피·아이스크림 등 가공식품 가격을 올리고, 라면까지 가격이 속속 오르고 있다. 정부가 올해 물가안정 목표치로 제시한 2%가 무색할 지경이다.

기후변화에 대응하기 위해 유럽(EU)과 미국 등에서 도입을 추진하는 탄소국경세도 우리경제의 불확실성을 더하는 요인이다. EU는 2023년 탄소국경조정제도를 도입하고, 2026년부터 본격적으로 부과할 방침이다. 미국도 도입을 검토 중이다.

한국은행의 최근 보고서에 따르면 미국과 EU가 탄소배출량 톤당 50달러의 탄소국경세를 부과할 경우 우리 수출은 연간 101억달러까지 감소할 것으로 추정했다. 지난해 연간 총수출(5128억5000만달러)의 2%에 달하는 규모다. 탄소국경세 부과는 기업의 수출가격 상승에 따른 가격경쟁력 하락이라는 직접적 효과 외에도, 중국 등 주요국 수출 감소에 따른 중간재 수출 감소, 시장점유율 변화 등 간접 및 무역재편 경로에도 영향을 줄 것으로 봤다.

산업별로 탄소집약도가 높고 수출비중이 큰 자동차와 선박 등 운송장비, 전기전자, 금속제품, 화학제품 등 주력수출산업까지도 타격을 받을 수 있다는 관측이다. 단기대응 방안은 물론, 신성장동력 발굴 등 중장기 계획 수립이 절실하다고 봤다.

전문가들은 “애그플레이션 상황이 길어지면 우리 경제가 ‘스태그플레이션’에 빠질 가능성도 있는 만큼 위험관리를 하는 동시에 근본적인 경제체질 혁신에 집중해야 한다”며 “탄소세 도입에 대응해 친환경 에너지로의 전환, 저탄소 기술개발 및 투자 확대 등 탄소저감 노력을 앞당기는 등 새로운 성장동력을 발굴하고, 시장을 확대할 수 있는 기회로 활용해야 할 것”이라고 지적했다.

dewkim@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