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문재인 대통령, 마지막 유엔무대서 종전선언 승부수
대화교착 속 '톱다운 해법' 다시 모색
文정부 로드맵 결산, 호응 가능성엔 물음표
北측 3등 서기관 경청 눈길

문재인 대통령이 20일(현지시각) 뉴욕 유엔본부 총회장에서 발언하고 있다. [연합]

[헤럴드경제] 문재인 대통령이 21일(현지시간) 임기 마지막 유엔총회 무대에서 종전선언 제안을 다시 꺼내 들었다. 문 대통령의 기조연설 때 북한 대표부 자리에는 3등 서기관이 앉아 연설을 경청하는 모습이 포착됐다. 김성 주유엔 북한대사의 연설은 일반토의 마지막 날인 27일 예정돼 있다.

문 대통령은 지난해 유엔총회 기조연설에서도 종전선언을 제안했다. 그러나 지난해에는 종전선언에 대해 "항구적 평화체제의 길을 여는 문"이라고 규정하는 다소 원론적인 언급에 그쳤다면, 올해는 "남북미 3자 또는 남북미중 4자가 모여 한반도에서의 전쟁이 종료됐음을 함께 선언하자"며 훨씬 구체적인 제안을 했다.

이런 언급은 세 번의 남북 정상회담이 열리고 외교가에서 구체적으로 종전선언 논의가 오가던 2018년 유엔총회 연설을 떠올리게 한다는 게 안팎의 평가다.

당시 문 대통령은 "비핵화를 위한 과감한 조치들이 관련국들 사이에서 실행되고 종전선언으로 이어질 것을 기대한다"고 했다.

문 대통령이 2018년 남북미 정상이 보여준 톱다운 행보가 지금 상황을 타개할 응급처방이 될 수 있다고 판단한 것이라는 분석이 나온다. 이런 때일수록 역으로 정상들의 과감한 결단이 돌파구가 될 수 있다는 기대감이 연설에 반영됐다는 것이다.

나아가 문 대통령의 임기가 8개월도 남지 않은 상황에서 '보텀업' 방식에만 기대면서 더 시간을 끌 수 없다는 위기감도 담긴 것으로 볼 수 있다.

그동안 5번의 문 대통령의 유엔총회 연설은 항상 그 시기의 남북관계를 가늠하는 바로미터 역할을 했다는 점에서 이번 종전선언 제안은 다소 의외라는 반응도 나온다.

문 대통령은 2018년과 작년에 언급한 종전선언에 더해 2019년 유엔총회에서 밝혔던 전쟁불용·상호 안전보장·공동번영 등 3원칙을 다시 천명했다.

북한을 실제로 대화 테이블에 끌어내기 위한 장치인 '동북아시아 방역·보건 협력체' 구상, 남북 대화로 역내 평화를 선도하겠다는 '한반도 모델' 구상도 재차 소개했다.

임기 마지막 유엔총회인 만큼 문재인 정부의 로드맵을 다시 한번 국제무대에 자세히 알리고, 다음 정부에서도 이를 계승할 수 있도록 길을 닦아놓겠다는 생각도 엿볼 수 있다.

문 대통령은 이날 연설에서 북한의 미사일 발사에 대해서는 언급하지 않는 등 최대한 조심스럽게 접근하는 모습을 보였다.

jumpcut@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